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FA연봉 : 국제공인재무분석사의 급여 수준과 전망

by jisikRecipe 2025. 11. 11.

CFA(Chartered Financial Analyst)는 국제공인재무분석사 또는 공인재무분석사로 불리는 세계 최고 권위의 금융 투자 전문 자격증입니다.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높은 인정을 받는 자격증으로, CFA 차터홀더가 되면 투자은행, 자산운용사, 증권사, 헤지펀드 등 글로벌 금융기관에서 높은 대우와 경쟁력 있는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CFA 자격증은 1963년 미국 CFA Institute가 설립된 이래 매년 전 세계적으로 20만 명 이상이 응시하며, 현재 160여 개국에서 약 19만 명의 CFA 회원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1,000명 이상의 CFA 차터홀더가 활동 중이며, 자본시장의 국제화와 전문인력 수요 증가로 CFA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CFA 연봉 수준과 현황

한국의 CFA 연봉 실태

한국에서 CFA 자격증 보유자의 평균 연봉은 8,500만 원에서 9,000만 원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초봉은 5,000만 원에서 7,000만 원으로 시작하며, 이는 일반 금융권 신입사원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경력이 쌓일수록 연봉 상승폭이 커지는데, 경력 5년 이상에서 CFA Level 3를 통과한 경우 9,000만 원에서 1억 2,000만 원을 받으며, 외국계 금융사나 글로벌 투자은행에서는 1억 5,000만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

한국의 CFA 연봉 구조는 기본급과 성과급으로 나뉘는데, 성과급의 비중이 매우 큽니다. 자산운용사나 증권사에서 일하는 CFA 보유자는 펀드 운용 성과나 수익률에 따라 기본급의 100퍼센트에서 300퍼센트까지 성과급을 받을 수 있어, 실적이 우수한 경우 총 연봉이 2억 원에서 4억 원까지 상승합니다.

미국과 해외의 CFA 연봉

미국 기준 CFA 보유자의 평균 연봉은 약 89,000달러에서 100,000달러이며, 한화로 약 1억 3,000만 원에서 1억 8,000만 원 수준입니다.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132,000달러에서 136,000달러를 받으며,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74,000달러에서 78,000달러를 받습니다. 임원급 CFA 차터홀더인 CFO나 CIO는 173,000달러에서 227,500달러를 받아 상당히 높은 수준의 보수를 받고 있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의 투자은행에서 일하는 CFA는 더욱 높은 연봉을 받습니다. 골드만삭스, JP모건 같은 글로벌 투자은행의 VP급은 기본급 275,000달러에 보너스를 합쳐 500,000달러, 약 6억 5,000만 원을 넘기도 합니다. 헤지펀드 매니저는 운용 수익의 20퍼센트를 성과급으로 받는 구조 때문에 성공하면 수십억 원의 연봉도 가능합니다.

국가별 CFA 연봉 비교

CFA 보유자의 연봉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비보유자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미국에서는 CFA 보유자가 180,000달러, 비보유자가 116,000달러로 35퍼센트의 차이를 보이며, 홍콩에서는 32퍼센트, 싱가포르에서는 27퍼센트의 차이가 나타납니다. 영국에서는 CFA 보유자가 224,564파운드, 약 3억 원을 받으며, 이는 비보유자보다 16퍼센트 높은 수준입니다.

캐나다에서는 CFA 보유자가 104,792달러를 받아 비보유자보다 20퍼센트 높으며, 일본에서는 163,199달러로 9퍼센트 높습니다.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CFA 자격증은 연봉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FA 직무별 연봉과 커리어

포트폴리오 매니저와 펀드매니저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CFA 차터홀더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직무로, 약 22퍼센트가 이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매니저의 연봉은 미국 기준 연평균 132,500달러이며, 에쿼티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136,000달러를 받습니다. 한국의 펀드매니저는 신입 기준 5,000만 원에서 7,000만 원으로 시작하며, 중견급은 8,000만 원에서 1억 원, 시니어급은 1억 원 이상을 받습니다.

펀드매니저의 연봉 구조는 기본급과 성과급으로 이루어지며, 성과급이 전체 연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큽니다. 신입은 성과급을 포함해 5,500만 원에서 9,000만 원을 받고, 경력 4년에서 7년차는 성과급 포함 2억 원에서 4억 원, 고경력자는 5억 원 이상을 받기도 합니다. 운용 수익률이 벤치마크를 크게 상회하면 초과 수익의 일정 비율을 성과급으로 받아 억 단위 보너스가 가능합니다.

리서치 애널리스트와 투자 애널리스트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CFA 자격증이 가장 각광받는 분야 중 하나로, 기업 분석과 투자 전략 수립을 담당합니다. 미국 기준 리서치 애널리스트의 연봉은 74,000달러에서 78,000달러이며, 리서치 어소시에이트는 9만 달러에서 14만 달러를 받습니다. 한국에서는 리서치 애널리스트가 초봉 5,000만 원에서 시작하여 경력에 따라 8,000만 원에서 1억 원 이상을 받습니다.

투자 애널리스트와 투자전략가는 CFA 회원의 주요 업무 분야로, 직장 내에서 포트폴리오 매니저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이들은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다양한 투자상품을 분석하고 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CFA 자격증을 통해 전문성을 인정받아 높은 연봉을 받습니다.

리스크 매니저와 투자 컨설턴트

리스크 매니저는 기업의 재무 리스크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직무로, CFA 차터홀더는 평균 126,060달러를 받습니다. 신용 리스크, 이자율 리스크, 시장 리스크 등을 전문적으로 다루며, 금융기관에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리스크 관리 전문가로 자리매김하면 안정적이고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 컨설턴트는 기업에게 독립적인 평가와 분석을 제공하며, 성장 기회를 식별하고 경제 예측을 제공합니다. CFA 차터홀더로 일하는 투자 컨설턴트는 평균 74,000달러를 받으며, 경력과 실적에 따라 더 높은 보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재무 어드바이저는 고객의 투자 선택과 보험 상품을 지원하며, 평균 110,000달러를 받습니다.

CFA 경력별 연봉 상승 패턴

신입과 초년차 연봉

CFA를 취득한 신입 금융인의 초봉은 국내 기준 5,000만 원에서 7,000만 원으로, 일반 금융권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초봉 4,000만 원에서 5,000만 원보다 높습니다. 상위 자산운용사의 경우 초봉부터 5,000만 원 이상을 제시하며, 성과급을 포함하면 5,500만 원에서 9,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CFA 신입의 초봉이 70,000달러에서 100,000달러로 시작하며, 이는 CPA 신입의 55,000달러에서 70,000달러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경력 0년에서 5년차 CFA 보유자는 MBA가 없어도 72,900달러를 받으며, CFA와 MBA를 모두 보유하면 87,200달러를 받습니다.

중견급 연봉 상승

경력 4년에서 7년차 중견급 CFA 보유자는 한국 기준 기본급 7,000만 원에서 9,000만 원을 받으며, 성과급을 포함하면 8,000만 원에서 2억 원까지 상승합니다. 이 시기부터는 개인의 역량과 성과가 연봉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며, 운용 실적이 좋으면 억 단위 보너스를 받는 경우도 흔합니다.

미국에서는 경력 5년 이상 CFA 보유자가 120,000달러에서 250,000달러를 받으며, 월스트리트의 투자은행에서는 이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받습니다. 경력 10년 이상에서는 CFA만 보유한 경우 132,000달러, CFA와 MBA를 모두 보유하면 148,000달러를 받아 자격증과 학위의 시너지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시니어급과 임원급 연봉

경력 8년에서 12년차 시니어급 CFA 보유자는 한국 기준 기본급 1억 원에서 1억 5,000만 원을 받으며, 성과급을 포함하면 1억 5,000만 원에서 3억 원까지 상승합니다. 이 시기 CFA는 펀드매니저나 리서치 헤드 포지션에 오르며, 헤지펀드나 사모펀드에서 일하면 성과급을 포함해 2억 원을 넘기도 합니다.

임원급인 경력 13년 이상 CFA 차터홀더는 한국 기준 기본급 1억 5,000만 원에서 2억 원을 받으며, 성과급을 포함하면 2억 원에서 5억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 글로벌 투자은행의 MD급 CFA는 10억 원 이상의 연봉을 받기도 하며, CIO나 CFO 같은 최고 경영진은 227,500달러에서 그 이상을 받습니다.

CFA 자격증 취득 방법과 과정

CFA 시험 구조와 응시 자격

CFA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총 3개의 Level로 이루어진 시험을 모두 통과하고, 48개월 즉 4년간 4,000시간 이상의 금융 투자 관련 실무 경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시험을 통과하고 나서 경력을 쌓을 필요는 없으며, 실무 경력이 충분하다면 Level 3를 합격하고 심사를 거쳐 바로 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CFA 시험 응시 자격은 Level 1과 2의 경우 졸업 잔여기간이 23개월 미만인 분 또는 학부와 실무경력 합산기간이 36개월 이상인 분이며, Level 3는 4년제 대학 졸업자 또는 학부와 실무경력 합산기간이 4년 이상인 분입니다. 학부 과정과 실무 과정 기간이 겹치면 인정되지 않지만, 군 복무 경력은 풀타임 실무 경력으로 합산 가능합니다.

CFA 시험 일정과 난이도

CFA 시험은 2021년부터 IBT 방식으로 시험 방식이 바뀌어 TOEFL처럼 시험용 PC가 구비된 센터에서 진행됩니다. Level 1은 연 4회 2월, 5월, 8월, 11월에 시행되며, Level 2와 3는 연 2회에서 3회 시행됩니다. 최단 기간으로 합격하려 해도 학습 기간을 제외하고 최소 1년 6개월이 소요됩니다.

CFA 시험의 합격률은 전 세계적으로 Level 1은 40퍼센트, Level 2는 44퍼센트, Level 3는 58퍼센트 정도이지만, 비영어권 국가인 한국에서는 난이도에 따라 20퍼센트에도 못 미치는 해도 있습니다. 온라인 시험 전환 이후 합격률이 급감했으며, Level 1에서 3까지 한 번에 합격하는 자는 Level 1 응시자 중 2퍼센트 미만입니다.

CFA 공부 시간과 학습 전략

CFA 공부 시간은 CFA Institute에서 권장하는 최소 시간이 각 레벨당 300시간 이상이지만, 실제로는 비전공자나 직장인의 경우 평균 400시간에서 500시간 이상을 투자합니다. Level 1은 300시간 약 6개월, Level 2는 450시간 약 10개월, Level 3는 600시간 약 12개월로 잡고 공부해야 하며, 평일 1시간에서 2시간, 주말 5시간씩 공부하면 월 50시간을 공부할 수 있습니다.

CFA 공부는 방대한 학습 분량 때문에 독학보다는 교육기관의 강의를 듣는 것이 시간 대비 효율적입니다. Schweser Note를 기본으로 하고 각 Level별로 핵심주제에 해당하는 부분은 커리큘럼북을 통해 심화학습을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원리 중심의 학습태도를 유지하고 과목별 중요 주제에 대한 서브노트를 스스로 작성하며, 문제 풀이 시 실제로 키워드를 이용하여 답안 작성법을 연습해야 합니다.

CFA 취업과 기업 우대 현황

CFA 회원 보유 주요 기업

2022년 CFA한국협회 발표에 따르면 국내 CFA 회원을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은 삼성증권으로 34명이며, 이어 KB증권 30명, 삼성자산운용 29명, 신한금융투자 17명 순입니다. CFA 회원 총 1,202명은 600여 개의 각기 다른 직장에 재직 중이며, 직장 내 업무 분야는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가장 많고 리서치 애널리스트, 투자 애널리스트, 투자전략가, 기업 재무분석가가 뒤를 잇습니다.

CFA 회원이 소속된 600여 곳의 직장 가운데 약 36퍼센트는 회원 연회비, CFA 시험 응시료 지원, 자격수당 지원 등 직간접적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KB증권 3사가 공통적으로 신입 공채 시 우대하는 금융 자격증으로 CPA와 CFA를 제시하며, 신한투자증권도 CFA 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합니다.

금융권 채용 시 CFA 우대

주요 은행에서는 CFA 자격증을 우대하는데, 수협은행과 농협은행은 Level 2 이상,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Level 1 이상, KB국민은행은 신입행원의 경우 Level 3 이상을 우대합니다. 우리은행도 CFA Level 2 이상 소지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며, 글로벌IB 직무의 경우 더욱 높은 우대를 받습니다.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에서는 CFA 자격증이 필수 스펙으로 활용되며, 특히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 증권사의 리서치 담당 분야에서 CFA 자격증이 가장 각광받습니다. 국내 금융공기업의 경우 서류 전형 시 세무사 정도의 자격증 가산점이 붙는 경우도 많으며, KIC, 한국투자공사, 국민연금, 한국은행 등에서 CFA 보유자를 우대합니다.

외국계 금융사와 글로벌 진출

CFA 자격증은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최고의 국제 공인 전문자격으로 인정받고 있어, 외국계 금융기관 입사나 전직 시 절대적으로 우선권을 갖습니다. 다국적 기업의 재무담당자와 외국투자자들의 CFA에 대한 신뢰성은 거의 절대적이며, CFA 자격증 소지자의 투자분석이나 기업평가 자료는 그대로 신뢰받습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인정받는 자격증은 단연 CFA가 맞으며, 유럽, 미주, 아시아 국가별 차이는 있지만 전 세계 금융시장을 살펴보면 CFA보다 인정받는 자격증은 없습니다. 해외로 이직을 생각하는 경우에는 다른 자격증보다 CFA를 따놓는 것이 더 유리하며, 미국, 영국, 홍콩, 싱가포르 등 전 세계 40여 개 국가에서 금융 투자 관련 자격시험 면제 혜택을 부여합니다.

CFA 연봉 상승 요인과 전망

CFA 자격증의 가치

CFA 자격증은 재무관리, 통계학, 경제학, 재무제표 분석, 주식 분석, 채권 분석, 포트폴리오, 파생상품, 대체투자, 투자윤리 등 높은 난이도의 3단계 시험을 통과하고 최소 4,000시간 이상 유관 직무 경력을 보유해야 받을 수 있는 세계 최고 권위의 재무 관련 자격증입니다. 전 세계 160여 개국에서 약 19만 명의 CFA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코넬, 듀크, 존스홉킨스, UC버클리, 런던정경대 등 전 세계 유수의 61개 대학원에서 입학 및 수료에 필요한 요건을 CFA 회원에게 전체 또는 일부 면제해 주는 혜택을 시행합니다.

CFA 자격증은 단순한 자격증이 아니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최소한의 자격으로 여겨질 만큼 그 위상이 높습니다. 글로벌 금융사에서 인정받으며 실무 능력과 투자 분석 역량을 공식 인증한 자격이기 때문에, CFA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들의 연봉은 일반적인 금융 직종 대비 월등히 높은 수준을 기록합니다.

연봉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CFA 보유자의 연봉 상승에는 여러 요소가 영향을 미칩니다. 첫째, 직무 능력의 공식 증명으로 CFA 자격증은 특정 업무 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여 평균 20퍼센트에서 25퍼센트의 연봉 상승 효과를 가져옵니다. 둘째, 시장 수요와 트렌드에 따른 기술 필요성 증가로,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 등에서 CFA가 필수 자격증으로 간주되어 고연봉 직무로 이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셋째, 성과급 구조가 연봉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자산운용사에서 성과급은 펀드 운용 성과와 회사 수익에 따라 결정되며, 기본 연봉 외에 받는 성과급은 때로 연봉의 두 배 이상이 되기도 합니다. 펀드매니저나 대체투자 운용역은 성과가 수치로 드러나기 때문에 성과급이 큰 편이며, 대형 자산운용사의 경우 성과급은 연봉의 50퍼센트에서 300퍼센트 수준으로 다양합니다.

CFA와 MBA의 시너지 효과

CFA와 MBA를 함께 보유하면 연봉 상승에 큰 시너지 효과가 나타납니다. 경력 0년에서 5년차의 경우 CFA만 보유하면 72,900달러, CFA와 MBA를 모두 보유하면 87,200달러를 받아 약 20퍼센트의 차이를 보입니다. 경력 10년 이상에서는 CFA만 보유한 경우 132,000달러, CFA와 MBA를 모두 보유하면 148,000달러를 받아 16,000달러의 차이가 납니다.

일부 MBA 스쿨은 CFA 차터홀더에게 GMAT이나 GRE를 면제시켜 주기도 하고, 대부분의 Core Finance 과목들은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혜택으로 CFA를 먼저 취득한 후 MBA를 진학하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연봉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CFA 준비 과정과 비용

CFA 시험 등록비와 응시료

CFA Level 1을 접수할 때 등록비 450달러와 응시료 650달러에서 1,380달러가 들어 총비용은 1,100달러입니다. 응시료는 시험 접수 기간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으며, 일찍 접수할수록 응시료가 저렴합니다. 한국 원화로 환산하면 시험 접수비만 약 280만 원이 들며, 여기에 수강료 450만 원과 교재비 90만 원을 합치면 총 820만 원 정도가 소요됩니다.

CFA 레벨 3까지 합격하기 위해서는 최소 3년이 걸리며, 시간과 돈을 모두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합격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시험 3번 모두 통과하고 이에 해당하는 경력을 갖추어 경력직으로 이직해야 CFA의 쓸모가 최대한 발휘됩니다.

효율적인 공부 방법

CFA 공부는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에 맞추어 공부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운 면이 있지만 CFA 자격증 획득 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입니다. 교육기관을 활용하면 과목별 합리적 시간 배분을 통한 학습효율의 극대화, 시험에 대한 행정절차 및 각종 정보 제공, 모의고사 등 학습한 내용을 점검해볼 수 있는 기회, 동료들과 토론을 통한 강약점 분야 파악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공부 계획은 대략 5개월에서 7개월로 잡는 것이 일반적이며, 직장인이면 5개월에서 7개월, 전업이면 4개월에서 5개월 준비합니다. 1단계는 초벌학습으로 4개월에서 5개월 동안 한 주에 1단원씩 강의를 듣고 노트를 작성하며, 2단계는 심화 복습으로 2개월 동안 노트를 보고 요점 복습 후 문제를 풀고, 3단계는 문제 풀이로 교과서 문제를 여러 번 풀어봅니다.

레벨별 학습 전략

Level 1은 방대한 양을 꾸준히 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며, 최소 5개월에서 6개월의 준비 기간을 잡고 매일 일정한 학습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휘발성이 강한 과목인 FRA나 Quant는 초반에 집중적으로 학습하고 시험 직전에 다시 복습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온라인 강의를 활용하여 개념 이해를 돕고 문제 풀이를 통해 실전 감각을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Level 2는 1차와 완전히 다른 시험이라고 생각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1차를 통과한 검증된 수험생만 응시하는데도 합격률이 40퍼센트대라는 것은 2차 시험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줍니다. Level 3는 에세이로 인해 불합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에세이 공부를 충실히 해야 하며, 답안을 직접 적어보는 훈련이 필요하고 기출 문제를 꼭 풀어봐야 합니다.

CFA 차터홀더가 되는 절차

시험 합격 후 경력 인정

CFA 차터홀더가 되기 위해서는 3단계의 시험에 모두 통과하고 최소 36개월 동안 4,000시간 이상의 금융 투자 관련 실무 경력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CFA Institute에서 요구하는 실무경력이란 투자의사 결정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부서에서 경제, 통계, 재무 자료의 수집, 분석, 평가업무 및 가치평가 업무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업무를 감독하거나 교육하는 업무도 관련 실무경력으로 인정됩니다.

일반기업의 기획, 재무, 회계부서나 증권, 금융 기관 및 컨설팅 기관의 많은 업무가 이에 해당하며, CFA 시험 등록 전의 해당경력도 인정됩니다. 3년간의 실무경력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는 3차 시험을 합격하였다 하더라도 자격증이 나오지 않고, 3년간의 실무경력 요건이 충족되는 시점에 차터가 부여됩니다.

추천서 제출과 최종 승인

경력 검토 후 다른 2명의 CFA 차터홀더의 추천을 받아야 정식으로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추천서는 CFA 차터홀더 자격이 있는 분에게 받아도 되고, 자격이 없어도 그 사람과 가깝고 그 사람의 개인적인 삶 또는 경력을 증명해줄 수 있으면 가능합니다. 만약 도저히 2명을 찾을 수가 없다면 1명은 직속 상사의 추천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동일 직종의 종사자 3인이 경력을 검토하는데 2주에서 4주 정도 소요되며, 경력 검토 후 결과는 메일로 발송됩니다. CFA 차터홀더가 되면 이 호칭을 자신의 명함 등에 공개적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최고의 국제 공인 전문자격으로 인정받습니다.

연회비와 멤버십 유지

CFA 차터홀더가 된 후에는 매년 연회비를 납부해야 하며, 비용이 매년 275달러로 만만치 않습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비용을 대주는 곳이 많으며, CFA 회원이 소속된 600여 곳의 직장 가운데 약 36퍼센트는 회원 연회비를 지원합니다. CFA 차터홀더는 Regular member이고 모든 시험을 다 통과해야 하며, Charterholder는 Regular member와 모든 시험 통과, Activation을 포함합니다.

CFA한국협회는 협회 소속 회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2025년도 신규 차터홀더를 비롯해 20년 전인 2005년에 CFA 차터홀더가 된 20주년 회원을 초청하여 축하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현재 6,745명이 CFA 회원이 되기 위한 시험을 치르고 있으며, 레벨 1이 4,487명, 레벨 2와 3이 각각 1,346명, 822명에 달합니다.

경력 단계 기본 연봉 성과급 포함 총 연봉
신입 (1~3년) 5,000만~7,000만원 5,500만~9,000만원
중견 (4~7년) 7,000만~9,000만원 8,000만~2억원
시니어 (8~12년) 1억~1억5천만원 1억5천~3억원
임원급 (13년 이상) 1억5천만~2억원 2억~5억원 이상

CFA 연봉은 경력과 직무, 성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특히 성과급의 비중이 높아 우수한 실적을 내면 연봉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한국에서는 자격수당이 따로 붙는 제도는 없지만, 투자자산운용사,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등으로 진출할 때 필수적인 전문성으로 작용하여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인정받는 자격증인 CFA는 장기적인 커리어 발전과 연봉 상승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금융 전문가로서의 위상을 높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