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252

거자일소 뜻 - 떠난 사람과의 관계는 날이 갈수록 멀어진다 去者日疎(거자일소)는 "去(거): 떠나다", "者(자): 사람", "日(일): 날", "疎(소): 멀어지다"라는 뜻으로, 떠난 사람과는 날이 갈수록 점점 멀어진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한때 가까웠던 사람이라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관계가 소원해질 수 있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다.거자일소의 뜻과 유래거자일소의 정의거자일소는 한때 친밀했던 사람이라도 이별 후 시간이 지나면 점점 관계가 희미해진다는 의미를 가진 표현이다.의미떠난 사람과의 관계는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멀어진다.아무리 친했던 사람이라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소원해질 수 있다.세월이 흐르면 인간관계도 변할 수밖에 없음을 뜻한다.사용 맥락오랜만에 만난 친구나 지인이 예전 같지 않을 때.이별 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멀어지는 관계를 표현할 때... 2025. 2. 23.
고두사죄 뜻 - 머리를 조아리며 용서를 빌다 叩頭謝罪(고두사죄)는 "叩(고): 두드리다, 절하다", "頭(두): 머리", "謝(사): 사죄하다, 용서를 구하다", "罪(죄): 죄, 잘못"라는 뜻으로, 머리를 땅에 찧으며 잘못을 빌고 용서를 구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심각한 잘못을 저지른 후, 진심으로 사죄하고 용서를 구하는 행동을 표현하는 고사성어다.고두사죄의 뜻과 유래고두사죄의 정의고두사죄는 머리를 바닥에 조아려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는 행위를 뜻하는 표현이다.의미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리며 간절히 용서를 구하는 행위.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인정하고 깊이 반성하는 태도.상대방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는 모습.사용 맥락왕이나 권력자 앞에서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할 때.부모, 스승, 상사 등 존경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며.. 2025. 2. 23.
아유구용 뜻 - 비굴하게 아첨하며 비위를 맞추다 阿諛苟容(아유구용)은 "阿(아): 비위를 맞추다", "諛(유): 아첨하다", "苟(구): 구차하다, 비굴하다", "容(용): 받아들이다, 용납하다"라는 뜻으로, 비굴하게 아첨하며 남의 비위를 맞추는 태도를 의미한다. 이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비굴하게 행동하고, 권력자나 윗사람에게 지나치게 아부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표현이다.아유구용의 뜻과 유래아유구용의 정의아유구용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비굴하게 행동하며 아첨하는 모습을 의미하는 표현이다.의미권력자나 상사에게 비위를 맞추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태도.신념 없이 상황에 따라 비굴하게 처신하는 행동.아부와 비굴함으로 인해 스스로의 자존심을 버리는 모습.사용 맥락정치나 조직에서 아첨하는 사람을 비판할 때.권력 앞에서 비굴하게 행동하는 태도를 경멸할 때.자신의 .. 2025. 2. 23.
굴묘편시 뜻 - 죽은 사람에게까지 복수하다 掘墓鞭屍(굴묘편시)는 "掘(굴): 파다", "墓(묘): 무덤", "鞭(편): 채찍질하다", "屍(시): 시체"라는 뜻으로, 무덤을 파헤치고 시체를 채찍질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죽은 사람에게까지 원한을 품고 복수하는 극단적인 행동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고사성어다. 과거 중국의 역사에서 실제로 있었던 사례에서 유래했으며, 원한을 풀기 위해 죽은 자의 명예를 짓밟거나 시신을 훼손하는 행위를 의미한다.굴묘편시의 뜻과 유래굴묘편시의 정의굴묘편시는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에게까지 증오와 원한을 품고 보복하는 행동을 뜻한다.의미누군가에 대한 분노와 증오가 극에 달해, 그 사람이 죽은 뒤에도 복수를 감행하는 것원수를 잊지 않고 끝까지 징벌하려는 강한 의지를 표현하는 말사용 맥락지나친 복수심이 도를 넘어선 경우상대를 .. 2025. 2. 22.
문전작라 뜻 - 찾아오는 사람이 없음 문전작라(門前雀羅)는 "문(門): 문, 대문", "전(前): 앞", "작(雀): 참새", "라(羅): 그물"이라는 한자로 이루어진 표현으로, "문 앞에 참새 잡는 그물을 친다"는 뜻입니다. 이는 찾아오는 사람이 거의 없어 썰렁한 상황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문전작라의 뜻과 유래문전작라의 정의문전작라는 예전에는 번성했지만, 지금은 한산하고 인기척이 끊긴 상태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의미:방문객이 없어 적막한 상황.한때 번성했으나 몰락하여 사람이 찾지 않는 상태.사용 맥락:가게나 사업이 잘되지 않아 손님이 거의 없을 때.권세가 사라진 후, 주변에서 사람들의 관심이 끊어졌을 때.문전작라의 유래와 배경한나라의 정치가였던 한안국(韓安國)의 이야기에서 유래한안국은 한나라(漢) 시대의 권력자로, 높은 지위를 가질 때.. 2025. 2. 22.
궁구막추 뜻 - 막다른 길에 몰린 적을 끝까지 몰아붙이지 말라 궁구막추(窮寇莫追)는 "궁(窮): 궁지에 몰리다", "구(寇): 도적, 적", "막(莫): ~하지 말라", "추(追): 쫓다"라는 한자로 이루어진 표현으로, "궁지에 몰린 적을 끝까지 쫓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는 적이 완전히 몰렸을 때 무리하게 공격하면 오히려 강한 저항을 불러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점에서 멈출 줄 알아야 한다는 전략적인 교훈을 담고 있는 고사성어입니다.궁구막추의 뜻과 유래궁구막추의 정의궁구막추는 상대가 완전히 궁지에 몰렸을 때는 너무 몰아붙이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의 표현입니다.의미:적을 너무 몰아붙이면 오히려 필사적인 반격을 불러올 수 있음.상대가 이미 무력해졌을 때는 무리하게 공격하기보다 신중한 전략이 필요함.사용 맥락:전쟁이나 경쟁에서 지나친 공격을 경계할 때.상대방을 코너에 .. 2025. 2. 21.